[뉴스초점] 국내 확진자 12명…'신종코로나' 확산 심상찮다<br /><br /><br />지금까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국내 확진 환자가 12명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보건당국이 확진자에 대한 신속 대응을 하고 있지만 2차·3차 감염자가 계속 발생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지역사회로의 확산이 우려됩니다.<br /><br />유병욱 순천향대 교수와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 12번째 확진 환자는 관광 가이드로 일본인 감염자에게 전염된 것으로 추정되는데요. 확진 가능성을 모르고 10여 일간 일상생활을 했다고 하죠. 이런 경우 3차 감염의 위험이 가장 큰 사람은 누구일까요?<br /><br /> 중국이 아닌 일본에서 국내로 들어왔기 때문에 확진 가능성을 낮게 봤다는 건데요. 감염원이 중국이긴 하지만 주변 국가로도 병이 퍼져가는 시점에서 국내 입국자에 대한 방역을 더 강화해야 하지 않을까요?<br /><br /> 함께 식사했다가 병이 확산하기도 했지만 반대로 12번 확진자의 친인척처럼 음성 판정을 받은 경우도 나왔습니다. 찌개나 반찬류를 공유하는 음식문화의 특성상 감염 가능성이 큰 건데, 어떤 점들을 유의하면 좋을까요?<br /><br /> 국내 확진자 12명 중 5명은 중국을 다녀오지 않고 감염된 2, 3차 환자입니다. 31일 이후로는 2, 3차 감염자만 나오고 있는데요. 3차 감염이 확인된 국가는 중국을 제외하면 한국이 처음입니다. 방역망에 빈틈이 있다면 가장 취약한 곳이 어디일까요?<br /><br /> 중국 우한시에서 입국한 전수조사 대상자 중 내국인 50여명과 연락이 안 되고 있습니다. 앞서 5번 확진자가 이렇게 능동감시를 받다가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하죠. 관리에 사각지대가 생기는 게 아닌지 우려되는데요?<br /><br /> 한편 지난달 말 제주도에 사흘간 머물렀던 중국인 여성이 귀국 후 확진 판정을 받은것 으로 전해졌는데요. 우리 정부도 중국 체류 외국인에 대한 입국제한을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. 하지만 정부는 아직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는데요.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무엇보다 예방 수칙을 잘 지키는 게 중요합니다. 손을 자주 씻고 마스크도 착용해야 하는데요. 그런데 어떤 마스크를 써야 할지도 고민입니다. 꼭 식약처 인증 마크가 붙어있는 마스크를 써야 하나요?<br /><br /> 요새 일회용 마스크 가격도 비싸지고 구하기도 어려운데 여러 번 쓰면 안 되는지도 궁금합니다. 또 출근길에 쓴 마스크를 퇴근길에 다시 써도 안전한가요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주말 서울 도심에서는 대규모 집회가 열렸습니다. 오늘 오후에도 곳곳에서 집회가 예정돼있는데요. 신종코로나 확산이 우려되는 요즘,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를 방문할 때 어떤 점을 특히 유의해야 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